728x90
반응형
여름이 한창 무르익는 시기, 24 절기 중에서도 유독 '덥다'는 이미지가 강한 날이 있습니다. 바로 **대서(大暑)**입니다.
뉴스나 달력에서 자주 보지만 정확한 의미는 모르는 경우가 많죠.
오늘은 **‘대서 뜻과 유래, 풍속’**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 대서란?
**대서(大暑)**는 24 절기 중 열두 번째 절기로, 한 해 중 가장 더운 시기를 뜻합니다.
‘大’는 크다, ‘暑’는 더위라는 뜻으로 ‘큰 더위’, 즉 가장 무더운 시기를 의미하죠.
2025년 기준 대서는 7월 22일입니다.
🗓 대서의 시기와 특징
- 대서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위치하며,
- 본격적인 여름철 고온다습한 날씨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 이 시기의 평균 기온과 습도는 1년 중 최고치를 기록합니다.
-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며, 열대야도 심해집니다.
🧾 대서의 유래
대서는 중국 농경 사회에서 유래되었으며, 농사의 절기를 나누기 위한 기준 중 하나였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를 받아들여 농사 시기, 건강 관리, 음식 문화 등에 반영해 사용해 왔죠.
특히 대서 무렵은 논과 밭의 작물 관리, 벌초, 여름철 건강식 준비 등의 활동이 많았습니다.
🍲 대서에 먹는 음식
- 삼계탕: 기력 회복용 대표 음식
- 보리밥, 수박, 콩국수: 더위를 식히는 계절 음식
- 오리백숙, 전복죽: 보양을 위한 특식
→ 특히 대서는 복날과 시기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 초복, 중복 음식 문화와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 대서 풍속과 지혜
대서는 ‘몸과 마음이 지치는 시기’로 인식되어, 조상들은 다양한 생활 지혜로 이 시기를 이겨냈습니다.
- 낮에는 활동을 최소화하고, 밤에는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숙면
- 보양식 섭취로 기력 보충
- 집 주변에 물을 뿌려 온도 낮추기 등도 전통 풍속 중 하나입니다.
📌 정리하자면
- 대서는 ‘큰 더위’를 의미하는 절기로,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
- 여름철 건강관리와 음식 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복날과 겹쳐 보양식 소비 증가
- 농경 중심의 삶에서 비롯된 생활 중심 절기
이제부터는 대서를 단순한 날이 아닌, 지혜롭고 건강하게 여름을 나기 위한 시기로 이해해 보세요.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옛 조상들의 지혜도 함께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방학에 꼭 해야 할 7가지 (8) | 2025.07.12 |
---|---|
KTX 예매 취소 간단하게 하는 법 (2) | 2025.07.11 |
홀빈 보관 방법, 신선함을 유지하는 비결 (1) | 2025.07.10 |
서울국제정원박람회 2025, 자연을 걷다 (1) | 2025.07.07 |
커피 찌꺼기 7가지 활용법 정리! (2)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