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한글날에 알아보는 예쁜 순 우리말

by 줌마몬 2025. 10. 9.
300x250
반응형

 

매년 10월 9일은 우리 고유의 문자 ‘한글’을 기념하는 한글날입니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여 반포한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과 말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날이기도 합니다. 이 뜻깊은 날을 맞아, 우리는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아름답고 깊은 의미를 지닌 순우리말을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순우리말이란?

순우리말은 외래어나 한자어가 아닌, 우리 민족이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고유한 말을 뜻합니다. 한글은 순우리말을 기록하고 지켜내는 도구이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 ‘가온누리(세상의 중심)’, ‘마루(하늘, 꼭대기)’ 같은 단어는 우리의 정서와 세계관이 담겨 있습니다.

2. 예쁜 순우리말 단어 모음

  • 가온누리: 세상의 중심
  • 다솜: 사랑
  • 마루: 꼭대기, 하늘
  • 해그림자: 햇빛이 비친 그림자
  • 노을: 해가 질 때 하늘이 붉게 물드는 현상
  • 아리아리: 정겹고 다정한 모양
  • 온새미로: 언제나 그대로, 자연 그대로
  • 달보드레: 달콤하고 부드러운 모양

이처럼 순우리말은 발음만 들어도 따뜻하고 감성적인 느낌을 줍니다.

3. 한글날과 순우리말의 관계

한글은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민족의 정체성과 문화를 지탱하는 중요한 기틀입니다. 순우리말이 살아있어야 한글도 제 기능을 다할 수 있습니다. 한글날을 계기로 순우리말을 기억하고 일상 속에서 더 많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순우리말의 활용

오늘날 순우리말은 아이 이름, 브랜드 네이밍, 문학 작품,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예쁜 뜻을 가진 단어들은 신생아 이름이나 기업 브랜드에도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어, ‘이루다’, ‘온새미로’ 같은 단어들은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적합합니다.

5. 순우리말 교육과 보존

교육 현장에서는 순우리말 단어장을 활용해 학생들이 직접 글짓기나 시를 작성하도록 지도합니다. 이는 단순한 언어 학습을 넘어, 민족 정체성 교육으로 이어집니다. 디지털 시대에는 사라질 위험에 놓인 단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존하는 움직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6. 한글날에 되새겨야 할 가치

한글날은 단순히 휴일이 아니라, 우리말과 글을 지켜야 할 책임을 되새기는 날입니다. 순우리말 한 단어를 기억하고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문화와 정체성을 계승하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올해 한글날에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순우리말을 찾아보고, 그 아름다움을 나누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한글과 순우리말은 단순한 언어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정신이 담긴 소중한 자산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