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가족 간 계좌 이체, 세금 문제 없을까?

by 3조1서 2025. 8. 5.
300x250
반응형

 

가족끼리 돈을 주고받는 일은 매우 흔합니다. 자녀에게 용돈을 주거나, 부모님 생활비를 드리기 위해 계좌이체를 하는 경우가 많죠. 그런데 이렇게 평범한 거래도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가족 간 계좌이체’에 대해 꼭 알아야 할 세금 기준, 증여세 면제 한도, 주의할 점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가족 간 계좌이체, 무조건 세금 내야 할까?

가족 간의 계좌이체가 모두 증여세 과세 대상은 아닙니다. 중요한 건 ‘돈의 성격’과 ‘금액’입니다.

  • 용돈, 생활비 등 일상적인 거래는 과세 대상이 아닐 수 있음
  • 하지만 목적과 금액이 모호하거나 큰 경우, 국세청이 자금 출처 소명을 요구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 통장에 3천만 원을 송금했는데, 명확한 사용 목적이나 증빙이 없다면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 증여세 면제 한도는 얼마?

가족 간 계좌이체가 증여로 판단되더라도, 일정 금액까지는 면제 한도가 적용됩니다.

관계 10년 기준 면제 한도
부모 → 자녀 5,000만 원
자녀 → 부모 1,000만 원
배우자 6억 원
미성년 자녀 2,000만 원

※ 10년 합산 기준이므로, 10년 안에 여러 번 송금한 금액을 모두 더한 총액이 면제 한도를 초과하면 증여세 부과 대상입니다.

3. 자금 출처 소명이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국세청이 자금 출처 조사를 할 수 있습니다.

  • 고액 자산(예: 부동산, 차량 등)을 자녀 명의로 구매
  • 자녀가 고액의 예금/투자를 시작
  • 갑자기 큰 금액이 특정 계좌에 입금된 경우

이 경우, **“이 돈은 어디서 났는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합니다.
즉, 단순히 가족 간 계좌이체라 해도 자금 흐름을 명확히 입증할 수 있어야 세무조사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4. 안전한 가족 간 계좌이체를 위한 팁

  1. 송금 목적을 명확히 기록하기: 통장 메모에 “생활비”, “학비” 등 구체적으로 입력
  2. 증빙 자료 확보: 생활비, 교육비 등으로 실제 사용한 영수증이나 기록 보관
  3. 정기적으로 소액 이체: 일정 금액 이상은 주기적이지 않으면 의심받기 쉬움
  4. 면제 한도 체크: 10년 단위로 가족 간의 증여 총액 관리

5. 세무서의 기준은 다를 수 있다

실제로 증여세는 ‘거래 행위의 실질’에 따라 판단됩니다. 같은 금액이라도 사용 목적, 거래 횟수, 증빙 유무에 따라 세무서 판단은 다를 수 있죠.
세무사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가족 간 자금 거래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 간의 계좌이체, 단순한 거래라고 방심하면 세금 폭탄 맞을 수 있어요.
사전에 기준을 정확히 알고 안전한 금융 거래를 하시길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